< 성장통 (오스굿슐라터병) , 증상 , 치료
질환별 물리치료 노트

성장통 (오스굿슐라터병) , 증상 , 치료

by 코칭김선생 2023. 4. 15.
반응형

오스굿슐라터병 (성장통)은 성장기동안 주로 발생하는 어린이, 청소년의 무릎통증 증후군이다. 흔히 임상에서 넓은 범위로 성장통이라고 진단하기도 한다. 스포츠 활동이나 일반적인 가벼운 운동, 일상생활활동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가볍게 생각해서 그냥 넘기면 다양한 후유증이 남기도 하므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오스굿슐라터병 (Osgood-schlatter disease)

오스굿슐라터는 주로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골관절염의 한형태의 질환으로, 무릎관절부위에서 발생하는 통증과 염증, 부종으로 인해 일상생활 전반의 지장을  줄 수 있다. 보통 초기단계에서는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적절한 안정화 휴식을 취하면 대부분 자연스럽게  회복되나 이러한 조치에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전문가의 치료를 요하는 것이 좋다. 오스굿슐라터병은 무릎 관절가동 범위가 과도하게 증가되거나 관절의 압박력, 긴장력이 강해지면 경골 (Tibial tuberosity) 위에서 부종과 통증이 나타난다. 대게 과도한 운동, 스포츠활동 시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 경골조면이 부분적으로 떨어져 나가거나 괴사 될 수도 있다. 오스굿슐라터병은 보통 사춘기 18세 미만에서 많이 나타난다. 해부학적 원인은 경골조면에 골단염이 발생했을 때 슬개건이 반복적 스트레스를 받아 생기는 것으로 , 점차 질환이 만성이 되면 슬개건이 완전히 떨어져 나갈 수 있다. 무릎을 꿇거나 점프, 달리기 시 심한 통증을 호소하고 손상후 외관상 경골결절이 커진 상태로 남게 되고, 무릎아래가 도드라져 보인다. 도드라져있는 경골결절은 자극에 더 쉽게 노출되고 , 또한 반복적인 자극은 부종, 출혈, 관절돌기의 퇴행성을 더 야기시켜 순환계문제등 2차적인 다양한 증상과 관절의 변형을 일으킨다.

증상

오스굿슐라터병의 완전하고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성장기에 발생하는 잦은 외상과 과도한 관절의 움직임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이것으로 인한 요인이 단독적으로 질환을 유발하지는 않고 , 유전적인 요인, 호르몬의 변화, 근육과 인대의 비대칭, 활동량 증가에 따른 부하증가요인등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고 한다. 주로 어린이와 청소년에게서 발생되며 증상은 간단히 덧붙이자면 다음과 같다.

1. 무릎통증:무릎앞쪽아래에 나타나는 통증으로 시작하여 , 열감이 발생되고, 무릎전체에 통증이 심해진다.

2. 무릎부종:무릎부위가 부어오르고 붉어지게 되는데 관절의 압이 상승하게 된다.

3, 걷기 곤란:통증과 부종으로 인해 걷는 것이 어렵고, 심한 경우 서있는 것도 힘들어한다.

4. 근육의 경직:다리를 구부렸다 폈다 하는 등의 관절움직임의 제한이 발생된다.

5. 발열 및 전신쇠약감:컨디션의 영향에 따라 체력저하와 전신쇠약감을 경험하고 무릎 주변의 발열감으로 불쾌감을 호소하게 된다.

이러한 증상이 장기간 지속되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우리의 몸은 퇴행으로 접어드는데 퇴행의 속도를 매우 빠르게 진행시켜 관절과 연골의 손상을 가속화시킨다. 일반적으로 X ray 등 간단하게 이용하여 질환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관리와 예방치료를 하여야 한다.

치료

주로 성장기에 발생하는 골관절염, 퇴행성관절염, 골다공증 성 질환으로, 무릎관절 앞 슬개건부착지점에 통증과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성장기청소년의 일상생활의 모든 활동에 제한을 줄 뿐 아니라 성장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증상을 빠른 시기에 완화하는 것이 좋다.

1. 안정적인 운동:오스굿슐라터병 환자의 근육강화와 유연성향상을 목적으로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등척성운동, 등장성운동 관절가동범위가 크지 않는 운동부터 점진적으로 늘려가고, 스트레칭등의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

2. 아이스팩:열감과 부종이 심하므로 얼음팩을 15분간 매일 3~5회 정도 적용하여 염증진행을 억제하고 통증완화를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약물치료:통증 및 염증완화를 위해 비스테로이드 항염제나 아세트아미노펜등의 약물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4. 보조장비사용:관절의 압박력과 충격의 흡수를 위해 보조장비를 사용함으로써 관절의 안정성과 기능 개선을 도와줄 수 있다.

5. 수술치료:보존적 치료에도 통증이 계속되거나 기능적인 문제가 발생할 경우 2차적인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위와 같은 치료방법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증상을 완화시키고 , 청소년기의 성장에 방해되지않도록해야하며,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건강한 삶과 성장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