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추의 검진은 척추에서 가장 아래에 위치한 5개의 뼈인 요추를 검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요추는 척추에서 가장 크고 강력한 부분으로 , 몸통과 다리사이를 이어주는 연결고리 역할을 합니다.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추뼈의 질환별 검사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추의 검진
1. 시진(inspection)
요추부위를 시각적으로 살피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요추를 확실히 검사하려면 환자는 옷을 완전히 탈의하여야 한다. 환자가 옷을 벗을 때의 움직임을 자세히 관찰한다. 허리의 통증이 있는 환자는 탈의할 때 통증이 나타나지 않은 동작을 하기 위해 몸을 비틀거나 구부리거나 뻣뻣하게 움직일 것이다. 그러한 동작을 보고 어느 정도의 병변이 있는지의 여부를 의심할 수 있다.
또한 허리에 발적이나 종양등 특이한 증상이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지방종, 털이난반점, 커피색반점은 신경계 또는 골질환이 내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진은 진단과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2. 뼈의 촉진
요추를 촉진하려면 환자를 똑바로 세우고 치료사는 환자의 뒤에 의자를 뒤고 앉은 다음 양쪽 손손을 환자의 장골능의 위에 각각 놓고 양쪽 엄지 손가락으로 허리의 L4와 L5의 접점에 놓은 다음 두 척추 사이의 간격을 촉진한다. 이 과정에서 요추부위의 염증이나 손상이 있으면 통증을 느낄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은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검진이 된다.
3. 연부조직의 촉진
요추의 연부조직의 검진은 다음 5개의 임상구역으로 나눈다.
1) 중앙봉선(mid-line raphe)
①극상인대와 극간인대 ②부척추근(천극군, 극근, 최장근, 장극근)
2) 제2 구역-장골능(둔부근육은 장골능 바로 밑에서 장골의 광범위한 부위에 걸쳐 기시(origin)한다.)
3) 제3 구역-후상장골극(요추염좌로 인한 동통이나 후상장골극으로 부터 건의 박리가 잘 일어나는 곳이다.)
4) 제4 구역-좌골부(좌골신경은 이상근아래의 대좌골공을 통해서 골반을 나오며 대전자와 좌골결절의 중간을 지나가기 때문에 찾아보기 쉽다. 또한 신경근에 영향을 미치는 추간판 탈출증이나 공간점유질병이 있으면 좌골신경을 촉진할 때 압통이 있다.)
5) 전 복벽(복직근)과 서혜부
특수검사
1) 척수(spinal cord)나 좌골신경(sciatic nerve)을 신장하기 위한 검사
①하지신전거상검사(straight leg rasising SLR test):환자는 등에바닥을 붙인 채로 눕고 검사자는 환자의 발목을 잡고 다리를 올 들어 올립니다. 다리가 일직선으로 올라갔을 때 환자의 발은 90도 각도로 유지되게 합니다. 이테스트에서 만약 다리가 80도 각도보다 낮게 유지된다면 척추신경근압박가능성을 의심해 볼 수 있고 만약 다리가 아래쪽으로 내려간다면 대퇴신경손상가능성을 의심해 볼 수 있다.
②건축하지 거상검사 :환자를 진찰대 위에 똑바로 눕게 한 다음 환자의 아프지 않은 다리를 들어 올린다. 환자가 반대 측의 요통, 좌골통이 나타날 경우에는 요추부위의 추간판탈출증과 같은 공간점유질병이라고 할 수 있다.
③게르니히 테스트(Kernig test):환자는 진찰대위에 똑바로 누운 자세로 양손을 머리뒤에 깍지를 끼고 머리를 가슴 쪽으로 힘차게 구부리게 한다. 이때 통증이 발생하면 중추신경계 질병의 초기단계를 의심해 볼 수 있다.
2) 척수 내압상승검사
①밀그람테스트:환자를 반드시 누운 자세에서 양다리를 핀상태에서 다리를 5센티 정도 다리를 들어 올리게 하고 30초 이상 유지하면 경막 내 병변을 제외하고, 그 자세를 유지할 수 없고 동통을 느끼면 경막 내 또는 추간판탈출증 , 척수를 둘러싸고 있는 수막자체에 압박을 받고 있는 것이다.
②발살바테스트:환자에게 대변을 볼 때처럼 숨을 들이쉬고 아랫배에 힘을 주게 한다. 이동작은 척수강내압을 상승시키는데 허리나 다리아래쪽으로 방사통이 있을 시 척수내압을 상승시키는 원인이나 수막자체에 병변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신경학적 검사
요추의 신경학적 검사는 하지 전체의 검사도 포함해야 한다. 요추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경손상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로 주로 척추손상, 디스크문제, 척수압박등으로 인한 통증 및 근력감소와 같은 증상 있는 환자에게 수행하고 일반적으로 각각의 요추신경근이 지배하는 근육의 검사와 감각검사를 시행한다. 또한 각각의 통증지점에서 느껴지는 통증세기 및 위치를 확인하고 요추신경학절레벨이 지배하는 반사를 확인하고, 관절운동범위, 대퇴신경의 손상여부등을 관찰하여 요추신경학적 검사를 통해 정확하고 포괄적인 검사로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다.
1) 신경학적 레벨(T12, L1, L2, L3)
(1) 근육검사:장요근
(2) 감각검사:서해인대와 슬관절사의 대퇴전면부를 지배한다.
2) 신경학적 레벨( L2, L3, L4)
(1) 대퇴사두근, 대퇴신경
(2) 고관절내전근군, 폐쇄신경
3) 신경학적 레벨(L4):전경골근, 심비골신경:하퇴전면에서 경골능의 위치에서 나눠져 내측은 L4, 외측은 L5의 감각분절이다.
4) 신경학적 레벨(L5)
(1) 장모지신근, 심비골신경
(2) 중둔근, 상둔신경
(3) 장지신근과 단지신근, 심비골신경
5) 신경학적 레벨(S1)
1) 장비골근과 단비골근, 천비골신경
2) 비복근과 가자미근, S1과 S2경골신경
3) 대둔근, 하둔신경
6) 신경학적 레벨(S2, S3, S4):방광을 지배하는 주요 신경이다. 방광에 미치는 신경학적 병변 또는 다리의 근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관찰 해야 한다.
'질환별 물리치료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지외반증 (Hallux Valgus Deformity: Bunions) , 증상 , 치료방법 (1) | 2023.04.14 |
---|---|
수근관증후군 , 원인 및 증상 , 물리치료방법 (0) | 2023.04.13 |
관절염 의 종류 , 증상 , 치료 (1) | 2023.04.11 |
족저근막염 (Plantar fascitis) , 원인 , 재활 (0) | 2023.04.10 |
척추의 구조 , 요통 원인 , 물리치료 (0) | 2023.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