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마비(Poliomyelitis)란?
소아마비는 바이러스에 의해 인체의 신경계통이 감염되어 일어나는 감염병입니다. 운동신경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병입니다.
1) 급성전각척수염:척수의 회백질의 전각을 침범하여 운동신경을 마비시킴
2) 바이러스감염에 의해 중추신경계, 특히 척수의 전각세포 및 뇌간의 일부 운동핵침범(감각은 정상)
소아마비는 대개 1형(brungilde)의 감염이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이 바이러스는 사람 간에 구강, 인후부, 호흡기를 통해 또는 직접 접촉을 통해 감염됩니다. 이후 혈류를 따라 중추신경계로 이동하여 손상시키고 경수 및 요수 팽대부 운동신경세포를 가장 흔하게 침범하게 됩니다.
질병경과와 증상에 따라
잠복기 1~2주
급성기 1~4주
·열지 속(3일경에 최대), 두통, 맥박수가 상승
·위장관증상:구토, 설사, 변비
·근육이 뻣뻣해짐, 근육통, 점진적인이완성마비
·마비:비대칭성, 상지보 다하지, 감각보다 운동마비가 더 심함
·비대칭성 복근마비 시
회복기:6~12주
·신경회복시기
·물리치료가 매우 중요한 시기
잔유기
·만성기에 돌입한 시기
·일단 손상된 마비의 회복은 기대하기 어려움
·변형형성
물리치료
소아마비 물리치료는 환자의 진행 시기에 따라 구분하여 치료가 진행됩니다. 아래에서 급성기, 회복기, 잔유기 물리치료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급성기 물리치료
급성기는 소아마비 발생 초기 단계로, 이 시기에는 발열, 근육통, 경련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 시기의 물리치료 목표는 증상 완화와 합병증 예방이며,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됩니다.
-통증 완화: 적절한 진통제와 낮은 강도의 전기자극을 사용하여 통증을 완화합니다.
-근육 이완: 경련이 발생한 근육을 이완시키기 위해 따뜻한 핫팩, 전기자극, 경혈 마사지 등을 시행합니다.
-관절가동범위 유지: 스플린트와 패딩을 사용하여 관절 가동 범위의 제한을 최소화하며, 변형과 경직의 발생을 예방합니다.
회복기 물리치료
회복기는 급성기 증상이 완화되고 근육 기능이 점차 회복되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의 물리치료 목표는 신체 기능 회복과 근력 향상이며,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됩니다.
-강화 운동: 저항운동을 통해 손상된 근육의 강도를 향상하며, 전신 근육의 균형과 기능을 회복시킵니다.
-스트레칭: 관절가동범위를 높이기 위해 수동 및 능동적인 스트레칭을 시행하며, 근섬유의 신장과 유연성을 향상합니다.
-보행 및 움직임 훈련: 보조기를 사용하여 보행과 움직임을 향상하며, 일상생활 동작을 습득하도록 도와줍니다.
잔유기 물리치료
잔유 기는 회복기 이후에도 일부 후유증이 남아 있는 상태입니다. 이 시기의 물리치료 목표는 신체 기능 유지와 삶의 질 향상이며,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합니다.
-보조기 사용: 변형되거나 기능이 제한된 부위를 지자하는 스플린트, 보행기, 지팡이 등의 보조기를 사용하여 활동 범위를 유지하고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환경적 적응 및 일상생활 지원: 환자가 일상생활을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환경적 적응과 소통 기술 향상을 도와줍니다.
-꾸준한 운동 및 스트레칭: 회복된 기능을 유지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도록 꾸준한 운동과 스트레칭을 유지합니다.
각 단계별로 치료 방법이 다르므로, 환자의 상태에 맞게 적절한 물리치료를 시행하여 신체 기능의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높일 수 있습니다.
'질환별 물리치료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각근하 점액낭염(Prepatellar Bursitis) 원인 과 증상 , 물리치료 (0) | 2023.07.28 |
---|---|
자세성 저혈압 (orthostatic hyotension) 원인 과 증상 , 물리치료 (0) | 2023.07.27 |
골수염 (Osteomyelitis) 원인 과 증상 , 치료 (0) | 2023.07.25 |
요천추 신경근병(Lumbosacral Nerve Root Disease) 이해하기 (0) | 2023.07.21 |
경골 골절에 대한 물리치료 (0) | 2023.07.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