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경골 골절에 대해 알아보고, 물리치료를 통해 어떻게 회복할 수 있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경골 골절은 우리 생활에서 꽤나 흔히 발생하는 상황으로, 무리한 운동이나 교통사고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먼저 골절이란 무엇인지부터 살펴보겠습니다.
경골 골절이란?
경골 골절은 다리를 구성하는 경골(대퇴골과 정강골) 중 하나의 뼈가 끊어지거나 깨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경골 골절은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일어날 수 있습니다.
*외부 충격: 낙상, 교통사고, 스포츠 활동 중 부상 등 외부 충격에 의해 경골이 깨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갑작스러운 사고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뼈의 약화: 골다공증 등 뼈의 질량이 감소하거나 뼈가 약해지는 병에 걸린 경우, 외부 충격이 작아도 골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나이가 많은 사람들에게 흔한 원인입니다.
*과부하: 긴 시간 동안 반복적인 운동 또는 장시간의 부하가 가해질 경우, 경골에 과부하가 가하여 미세 골절 또는 스트레스 골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드는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나, 일정한 부분에 과도한 부하를 주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에게 흔하게 발생한다.
*구조적 문제: 뼈 자체의 구조적인 문제나 유전적인 이유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발목의 일부 구조적 변형은 손상에 더 취약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경골 골절의 증상
*통증: 골절 부위에서 급격한 통증이 발생합니다. 근육과 인대의 손상도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부기: 부상 부위에 염증이 발생하면서 주변 조직에서 부기가 생깁니다. 부기는 골절 부위의 혈류와 림프의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연발음소리: 경골 골절 시 골절 부위에서 뼈가 부딪히는 소리가 들릴 수 있습니다.
*움직임 제한: 골절이 발생하면 움직임이 제한되며 정상적인 활동이 어려워집니다. 근육 및 인대의 손상에 따라 움직임에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변형: 골절 부위가 비정상적인 외관을 나타낼 수 있으며, 골절된 뼈의 위치가 이동한 경우 관절 주변에 확연한 변형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피부 상처: 골절된 뼈가 피부를 찢어 무릎 주위의 피부나 근육, 힘줄에 상처가 생길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를 통한 회복
선별적으로 골절 부위를 고정시킨 후 물리치료를 통해 회복하는 과정에 들어갑니다.
경골 골절이 발생한 경우 물리치료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물리치료는 골절이 치유되는 동안 통증을 감소시키고, 관절 가동 범위와 기능을 회복하며, 근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경골 골절에 대한 물리치료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초기 단계: 골절 부위를 고정시키고, 부기와 통증을 줄이기 위한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냉온찜질, 자세 조절, 전기 자극 치료 등이 이 시기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관절 가동 범위를 늘리기 위한 CPM운동기구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1. 보호:골절부가 완전히 경화될 때까지 필요.
2.12주 정도는 보행 캘리퍼 부목, 보행 석고 등으로 지지.
*중간 단계: 골절이 어느 정도 치유되면 근육 강화와 관절 가동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한 치료가 시작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등척성 및 등장성 근력운동, 스트레칭, 신장 및 굴곡 운동 등이 이루어집니다.
*후기 단계: 골절 부위가 안정화되면 일상생활 복귀를 위한 치료가 시작됩니다. 균형 훈련, 보행 훈련, 체력 강화를 위한 전신 운동 등이 이루어집니다. 이 단계에서는 활동 수준을 점차 높여가며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준비합니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물리치료는 개인적인 상태와 진행 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와 물리치료사와 상담하여 맞춤형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최적의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질환별 물리치료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수염 (Osteomyelitis) 원인 과 증상 , 치료 (0) | 2023.07.25 |
---|---|
요천추 신경근병(Lumbosacral Nerve Root Disease) 이해하기 (0) | 2023.07.21 |
견관절 탈구 원인 및 증상 , 물리치료에 대해 (0) | 2023.07.19 |
림프 부종 원인과 증상 , 치료 (0) | 2023.07.17 |
좌골 점액낭염 (Ischial bursitis) 원인 과 물리치료 (0) | 2023.07.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