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자주 다루어지지 않지만 많은 분들이 겪을 수 있는 '자세성 저혈압(Orthostatic Hypotension)'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되는 물리치료 방법에 대해서도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먼저 자세성 저혈압이란 무엇일까요? 자세성 저혈압은 우리 몸의 혈압이 일시적으로 떨어지는 현상으로 서있거나 앉아 있다가 일어나거나 누워 있다가 일어날 때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로 인해 일시적으로 현기증, 어지러움, 머리가 띵해지는 증상 등이 발생합니다.
원인
※승압반사보다는 감압반사에 신체적 리듬이 적용되어 일어나는 현상.
(승압반사:대정맥과 우심방에 정맥혈의 환류가 늘어나면 이들 혈관이 팽참함으로써 그곳에 있는 구심성신경을 자극하여 일어나는 것(
저혈압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원인들이 있습니다.
1. 체액 부족: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지 못하거나, 수분이 잃어버려 혈압 조절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2. 신체 활동 감소: 장시간의 침대 휴식이나 저 체력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저혈압 유전자: 가족 중에 저혈압, 특히 자세성 저혈압을 가진 사람이 많은 경우에도 발생합니다.
4. 신경 체계 질환: 중추신경계 및 교감신경계에 문제가 생겨 혈압 조절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5. 약물 부작용: 다혈압 약물, 항우울제, 진정제, 진통제 등 일부 약물이 크게 작용해 자세성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자세성 저혈압의 증상은 무엇이 있을까요?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현기증: 일어선 자세로 바뀔 때 또는 앉아 있는 동안 발생하는 현기증
2. 어지럼증: 백기빙 무량한 등의 착각으로 인한 어지러움
3. 머리 띵함 또는 통증: 순간적으로 나타나고 사라지는 머리 통증과 띵함
4. 간혹, 기절은 자세성 저혈압의 가장 심한 증상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증상이 발생하면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물리치료
그렇다면 자세성 저혈압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되는 물리치료는 무엇이 있을까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자세성 저혈압 환
자들의 치료에 도움을 줍니다.
1. 경사침대(tilt table) 사용
·20~30도 정도에서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90도에 이르도록 합니다.
·사지마비:슬관절, 골반, 가슴을 벨트로 고정
·하반신마비:양쪽 슬관절과 골반고정
·경사침대를 이용한 기립훈련은 대개 수술 후 10일에서 2주 사이에 시작
·골다공증, 요로 감염의 예방
2. 방지:복대, 고무양말, 체위를 앉은 자세로 바꿔주기, 하지 올리기
·낮은 자세에서 높은 자세로 천천히 변화시키기: 서있거나 앉아 있다가 일어날 때 천천히 일어나는 연습을 통해 몸이 혈압 변화에 익숙해지게 합니다.
·수분 섭취: 체액 부족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 섭취가 중요합니다.
·저림 가능성이 있는 부위의 마사지: 손목, 발목, 허벅지 등 혈압을 조절하는 부위를 마사지로 정상화시킬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와 병행: 필요하다면 의사와 상의하여 약물 치료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
자세성 저혈압은 신체에 다양한 증상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보다 건강한 삶을 위해 이에 대한 인식과 치료 방법에 대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기억하시고, 건강한 생활을 지속해 보세요!
'질환별 물리치료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활액막염 (Synovitis) 원인 및 증상 ,물리치료 (0) | 2023.07.31 |
---|---|
삼각근하 점액낭염(Prepatellar Bursitis) 원인 과 증상 , 물리치료 (0) | 2023.07.28 |
소아마비 (Poliomyelitis) - 정의, 원인, 증상 및 물리치료 (0) | 2023.07.26 |
골수염 (Osteomyelitis) 원인 과 증상 , 치료 (0) | 2023.07.25 |
요천추 신경근병(Lumbosacral Nerve Root Disease) 이해하기 (0) | 2023.07.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