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개건은 무릎을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하나로, 대퇴골에서 무릎뼈로 이어지는 건(힘줄)입니다. 슬개건염이란 이 슬개건 주위의 조직과 건을 포함한 부분이 염증이 생기는 증상을 말합니다. 무릎 주위 부분이 붖고 열감이 생기며, 통증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무릎 앞쪽에서부터 다리 전체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인
1,과부하
무릎을 수시로 굽히고 펴는 동작이나 계속되는 점프, 달리기 등과 같은 반복적인 동작의 스포츠활동, 긴 시간 동안 쉬지 않고 일하는 직업을 하고 있을 때 슬개건에 과부하가 걸려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비만
과체중이나 비만은 슬개건 부분에 무리한 부담을 줘 염증이 생기게 됩니다.
3. 외상 및 말초 혈관장애
슬개건부위에 상처를 입는 다양한 원인으로 염증이 생길 수 있으며, 근막증후군, 근막계 조절장애, 인대부상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1. 통증:무릎 앞쪽에 열감, 부종,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2. 관절움직임 제한:무릎이 뻣뻣해질 수 있고, 가동범위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3. 관절의 경직 및 강직: 앉거나 일어날 때 무릎에서 아프거나 이상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슬개골의 아래쪽에서 경골조면을 살짝 압박하고 두드리면 통증이 매우 심하거나 이상감각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치료
1. 휴식
급성 슬개건염의 경우 증상이 심한 동안 꾸준히 휴식해야며, 무릎을 구부리거나 굽히는 동작을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약물치료
통증이나 염증을 줄이거나 근육 이완효과 등의 효과를 가져오는 약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수술
치료가 어려운 경우, 예전에는 수술을 많이 시행하였으나, 현재는 보존적 치료의 기술법으로 가능한 한 조절하는 것이 좋으나 파열단계에서는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4. 물리치료
전기치료, 초음파, 냉/핫팩, 극초단파, 레이저, 자기장치료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한편, 진행된 슬개건염은 치료하는 기간이 오래 걸리고 빠른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증상이 있으면 가능한 한 빨리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환별 물리치료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목 요골 골절 (Colles fracture) 이란? (0) | 2023.05.08 |
---|---|
선천성 고관절 탈구 (Congenital Dislocation Hip , CDH) (0) | 2023.05.08 |
방아쇠손가락 (Trigger finger) , 증상 , 치료 (0) | 2023.05.07 |
사경 (Torticollis) (1) | 2023.05.06 |
자궁경부암 예방이 중요해요 (0) | 2023.05.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