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경 (Torticollis)
질환별 물리치료 노트

사경 (Torticollis)

by 코칭김선생 2023. 5. 6.
반응형

한쪽 흉쇄유돌근의 수축상태로 목이 한쪽으로 기울어져 이상 자세가 나타나는 질환이다. 선천적 사경과 후천성사경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에 대해 알아보자.

사경 (선척적, 후천적) 원인

선천적사경의원인은 신생아나 유아에게서 나타나고 여자아이보다 남자아이의 발생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흉쇄유돌근이 두꺼워지거나 길이가 짧아져있다. 원인으로 명확하지는 않으나 자궁 내에서 태아의 비정상적인 위치로인해 혈관이 눌려 근육 내 섬유증이 발생한다거나 분만 시 흉쇄유돌근의 울혈 이 생겨 정맥이 응고(Clotting)되어 발생으로 흉쇄유돌근의 종괴, 근의 근 변성등의 가설등이 있다.

후천적인 사경은 흉쇄유돌근의 근육의 염증, 림프선염, 스트레스,경추의 신경의 이상증후, 연부조직의외상,경추의 외상력이 원인요인이 될 수 있다.

증상

흉쇄유돌근이 짧아지고 두꺼워진 쪽으로 머리가 기울게 되고 , 그 방향으로는 머리를 잘 돌리려고 하지 앓고 반대쪽으로 회전(cock robin position)한 자세를 취한다. 흉쇄유돌근이 짧고 단단해지며 덩어리가 만져지기도 한다. 짥은쪽의 얼굴표정이 무표정하고 뒤통수가 편평하는 등  흔한 증상이다. 또한 선천성 고관절 이형성증이 동반되기도 한다.

 

 

 

 

치료

선천적 근육성사경은 조기진단과 조기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치료시기가 이를수록 아이스스로능동적 신전움직임운동만으로도 호전이 가능하며, 생후 3~4 개월에 이전이연 더효과적이다. 짧아진 쪽의 반대방향으로 보통하루 5회 한 번에 15회 정도의 신전운동을 적용한다. 안아서 수유를 할 때는 짧아진 쪽으로 안아서 주고, 잘 때는짧아진 쪽의 반대방향으로 머리를 돌려놓는다. 항상 아이의 시선과 집중을짧아진쪽방향으로 유도해서 능동적으로 아이스스로 턱이과목이 짧아진 쪽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유도한다. 이러한 능동적 신전운동과 수동신전운동을 하였는데도 호전이 없더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보통 안면의 변형이 유발되기 전인 1 세이전에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게 되고 , 이를 통해 안면부의 변형과 턱의 비대칭, 2차적 보상작용으로 인한 척추의 변형 및 근육의 변성등 불균형한 신체발란스와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급성 혹은 후천적사경은 보통 외상에 의해 흔하게 나타나며 30~60세 사이에 발생률이 높고 10퍼센트 정도는 자연히 치유되지만,그렇지않은 경우에는 습관적인 비대칭 자세와 머리의 회전하는 범위와 빈도가 감소하고 통증도 나타나게 되는데 관절이완운동과 물리치료인 온습포, 초음파, 전기치료, 견인치료등을 2주 정도 정도하면 통증완화에 효과적이다.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