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목 요골 골절 (Colles fracture) 이란?
질환별 물리치료 노트

손목 요골 골절 (Colles fracture) 이란?

by 코칭김선생 2023. 5. 8.
반응형

손목 부근에서 발생하는 요골 골절은 빈번하게 발생하는 중요한 외과 질환인 만큼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을 알아보자.

 

원인

손바닥을 짚고 넘어질때 간접력에 의해 요골 골간단(metaphysis) 골절이 발생하고 , 요수근관절면으로부터 약 1.5인치 이내에서 발생하는 횡골절이다. 보통 중년이 이후 노인에게서 많이 호발하고 원위요골골절의 90% 이상을 차지하며, 요골의 후방전위방향(손바닥 쪽)으로 골절된다.

증상

통증,부종,종창등으로 관절움직임 제한되고 , 감각이상, 손가락기능의약화가 발생된다.

또한 Denner fork deformity 형성(원위분절전위,후방회전,요골측으로 전위)된다.

안 좋은 예로는 견부의 동반손상을 일으킬 수 있고, 정중신경손상으로 손가락의 신경이상감각과 통증이 나타나고, 장무지신근건의 건파열이 동반되면 엄지손가락의 펴짐이 제한된다. 부종과 종창이 오래 가게 되면 피부색의 변화와 피부감각이 과민되고 관절의 경직이 심화된다.

물리치료

4주정도 고정해야 하고 말단 부분의 손가락 부분은 능동운동을 적용하고, 일반적으로 4주 후부터는 파라핀욕, 전기치료, 초음파 등을  경직과 강직이 온 관절 부분에 적용하고 관절움직임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신장운동, 마사지를 시행한다. 또한 정상관절가동범위를 위해서 점진적으로 통증을 최소화하여 신장운동을 시행한다.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