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상의 원인 및 증상 , 치료 및 물리치료
질환별 물리치료 노트

화상의 원인 및 증상 , 치료 및 물리치료

by 코칭김선생 2023. 7. 3.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갑작스럽게 찾아올 수 있는 화상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화상은 언제든지 우리나라 인명·재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니, 화상에 대해 미리 알아두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전문적인 정보를 차근차근 알려드리겠습니다.

원인

화상이란 외부 열기에 의해 생기는 피부, 기관 및 조직의 손상입니다. 일상에서 화상이 일어날 수 있는 원인으론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열화상: 뜨거운 액체 및 기체, 불 등에 의한 화상
화학물질 화상: 강산, 강염 등의 화학물질이 피부에 닿을 경우
전기적 화상: 전기에 의해 발생하는 화상
마찰 화상: 신체와 물체 사이의 마찰에 의해 피부가 상처 입는 경우
복사선 화상: 태양광, 방사선 치료 등 조사에 의한 화상

증상

*병리적 변화

(1) 쇼크단계
1.2~3일간 지속
2. 모세혈관 확장이 되면서 혈액으로부터 단백질과 전해질이 소실
(2)가 피제거 단계
1. 피부는 가죽처럼 변화됨
2. 표재성 화상시 피부의 하부층에서부터 치유됨
3, 심부 화상 시는 피부 이식
4. 월풀을 통해 가피 제거
(3) 치유와 재건 단계
마사지를 통해 유착을 방지하고 관절 간 움직임이 유착되지 않고 경직되는 것을 방지.

*임상 적 양상

(1) 화상을 입은 부위에서 피부가 붉어지면서 홍반생성-물집발생-피부가 검어짐-연한 갈색을 띠는 혈장이 배어 나옴
(2) 장기적으로 사지의 절단이 필요하기도 함
(3) 손의 기능 상실은 막대한 장애를 초래함
(4) 얼굴의 화상은 환자와 가족의 재활을 어렵게 만듦
(5) 심리적 불안감

 

특징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 환자의 나이와 앓고 있던 지병
2. 화상의 정도:생존가능성(%)=100-(나이+전체피부에 대한 화상을 입은 부위의 %) 10세 이하의 아이에게는 적용되지 않음
3. 흡입화상:폐렴발생, 치사율 높음

처치 및 물리치료

1) 초기처치
기도유지-통증제거-체액의 균형유지-무균 처리된 거즈로 환부보호-환자에게 설명-치료실로 이동

 

2) 물리치료
1호 흡기 합병증 예방
2. 관절강직과 변형예방
3. 근력유지
4. 환자의 최대 기능유지
5. 일상생활로의 복귀 교육
6. 호흡기계치료:체위 배담, 기침, 흡입법 등

화상 환자의 물리치료는, 환자의 상태와 부상 정도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사용됩니다. 주요 목표는 통증 관리, 관절 및 근육 기능 유지, 이완 운동, 신체적 기능 및 자립을 회복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화상 환자 물리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물리치료 평가: 먼저 전문가는 환자의 상태, 움직임 범위, 근력 등을 평가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치료 계획을 작성합니다.

2. 가동 범위 운동(ROM 운동): 관절 가동 범위를 유지하고 높이기 위해 환자의 관절을 움직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운동은 팔, 다리, 목, 허리 등의 관절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3. 스트레칭 운동: 화상부위의 피부가 유착되거나 혹은 경직될 수 있으므로, 스트레칭 운동은 환자의 근육을 유착을 방지하고 근육을 이완하고 신축성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4. 강화 운동: 환자의 근력을 향상하기 위해 저항력을 가해 근력강화 운동을 시행합니다.

5. 보호대와 스플린트: 불필요한 관절 경축을 예방하고 팔, 다리, 손가락 등의 정상적인 움직임을 촉진하기 위해 환자를 올바른 자세로 배치하고 스플린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6. 걷기 및 이동 훈련 : 환자의 균형 감각과 움직임을 향상하기 위해 걷기 및 이동 훈련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7. 림프부종 관리: 화상 부위의 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해 림프 경화를 억제하고 림프액의 이동을 도와줄 수 있는 압박 옷이나 압박 소켓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8. 충분한 안정 및 재활 교육: 환자에게 정확한 움직임과 스트레칭 방법을 알려줍니다. 환자 자신이 일상생활에서 적용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도합니다.

화상 환자의 물리치료는, 환자의 개별 상황에 맞추어 독립적 기능 및 높은 삶의 질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