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골신경마비(Radial Nerve Paralysis)는 손목, 손가락, 팔을 이용할 때 발생하는 신경 손상입니다. 이 글에서는 요골신경마비의 정의, 원인, 증상, 그리고 물리치료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골신경마비는 요골신경의 손상이나 압박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경기능 장애입니다. 요골신경은 팔에서 손목, 손가락까지 연결되어 있는데, 이 신경이 손상되면 팔 관련 근육과 인대가 영향을 받아 움직이거나 힘을 잃게 됩니다.
요골신경마비 원인 및 증상
요골신경마비의 원인은 다양한 원인을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팔꿈치, 팔뚝, 상지 근육 부분의 외상(상처, 골절, 근육 피로 등)이 등 갑작스러운 충격이나 지속적 압박, 부적절한 자세로 인한 압박 등이 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요골신경마비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손목이나 손가락의 움직임이 둔감해지거나 마비되는 현상
-팔꿈치나 손목에서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
-손목 접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손목의 힘이 없는 상태
-손과 팔의 감각의 상실 또는 감퇴
물리치료
요골신경마비는 초기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물리치료는 현재 상태를 개선하고 신경의 회복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물리치료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요골신경마비 환자의 물리치료적용 방법에 대해서는 다양한 치료법이 있지만, 이 글에서는 주요 치료법을 간략하게 요약해 드리겠습니다.
요골신경마비(근위 요골신경 손상) 환자에게 적용되는 물리치료법은 다양한 치료기법으로 구성됩니다. 본 글에서는 온열치료, 전기치료 및 초음파치료를 포함하여 주요 치료법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합니다.
1. 스플린트:Cock-up splint (20도 dorsiflexion)으로 팔의 자세를 만들어 지지하게 한다.(굴곡구축을 방지)
2. 전기치료: 인체의 전기적 특성을 사용하여 신경과 근육을 자극하고 통증과 염증을 낮춥니다. 전기치료는 자기장 치료, 전기근 촉진, TENS(경피적 전기신경자극) 등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근육의 수축성을 유지시키고, 탈신경위축방지, 무용성위축방지, 초기근력강화를 시킬 수 있습니다.
3. 초음파치료: 조직의 통증과 염증을 개선합니다. 초음파는 전달매질을 통해 체외에서부터 전달되며, 특히 조직의 염증 및 통증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사용 방법에 따라, 3-5cm 깊이적용 이 가능합니다.
4. 이완 및 스트레칭: 근육 긴장을 완화시키고, 요골신경의 움직임을 향상하기 위한 스트레칭을 합니다. 이 중에는 수동 스트레칭, 깊은 근조직 마사지 및 신경 자극치료기구를 사용한 수기 치료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5. 근력 강화 운동: 손상된 요골신경 주변의 근력을 높이기 위해, 등척성-등장성-점진적 저항운동 순으로 운동치료를 적용합니다. 이런 운동은 신경마비로 인한 근위축, 약화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6. 기능 훈련: 손목 및 팔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하여, 사용하지 않던 근육을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활동이 포함됩니다. 기능적 영역에서는 일상생활의 수행능력을 측정하고 향상하며 높은 수준의 일상생활동작등의 움직임을 훈련시킵니다.
개인의 상황에 적합한 강도와 휴식을 고려하여 정기적으로 전문가와 협의하고 이루어져야 하며, 치료 계획을 꾸준히 조정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요골신경마비환자들이 더 나은 상태로 회복될 수 있을 것입니다.
'질환별 물리치료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상근건염 , 원인 및 증상 , 물리치료 (1) | 2023.06.23 |
---|---|
욕창 , 원인 및 증상 , 치료 (0) | 2023.06.22 |
척추관 협착증 (spinal stenosis) , 물리치료 (0) | 2023.06.20 |
슬개골 전 점액낭염 (prepatellar bursitis) , 물리치료 (0) | 2023.06.19 |
다발성경화증 (Multiple sclerosis) , 원인 및 증상 , 물리치료 (0) | 2023.06.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