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극상근건염 , 원인 및 증상 , 물리치료
질환별 물리치료 노트

극상근건염 , 원인 및 증상 , 물리치료

by 코칭김선생 2023. 6. 23.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극상근건염(Supraspinatus Tendinitis)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글에서는 극상근건염의 정의, 원인및 증상 물리치료 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극상근건염(Supraspinatus Tendinitis)이란?

극상근건염(Supraspinatus Tendinitis)은 상완골의 대결절과 견봉사이에 위치한 근상근의 부착부의 염증성병변으로 관절의 연결 부위인 극상근건에 발생하는 염증입니다.  극상근건염의 발생은 어깨 통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극상근건염은 주로 과도한 사용에 의한 피로나 부상으로 발생합니다. 반복적인 어깨 운동이나 힘을 많이 사용하는 일, 스포츠 활동등이 손상의 원인이 될수 있습니다.
또한 연령과 함께 근육과 관절은 노화되며 근육의 탄력성이 감소하고 상완골-쇄골 사이의 점액낭(bursa)의 염증으로 인해 견관절 주변의 압력이 증가시켜 극상근의 전단을 일으킬수 있고 파열에 이를 수있습니다.이러한 원인들로 인해 극상근건염의 발생률이 높아집니다.

극상근건염의 주요 증상은 무엇인가?

극상근건염의 주요 증상은 어깨 통증과 어깨 주변 근육의 약화입니다. 팔 뒤쪽의 통증과 어깨를 앞으로 올리거나 내리는 동작 때 힘이 약해지는 것 또한 극상근건염의 특징입니다.
또한 어깨-상완 관절의 움직임이 제한됩니다. 특히 밤에 잠을 자는 동안 통증이 심해질 수 있으며, 어깨 팔아래로 방사통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극상근건을 촉진시 압통을 느낄수 있으며 외전움직심이 증상이 더욱 심해집니다.

극상근건염의 물리치료

극상근건염의 물리치료는 주로 세 단계로 진행됩니다.

1.초기 단계 치료: 증상이 처음 발생할 때는 통증과 염증을 완화하기 위해 얼음 찜질이나 약물 요법이 사용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어깨와 팔의 활동을 최소화하고 통증과 염증을 완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중간 단계 치료: 통증과 염증이 완화된 후, 근육을 이완하고 관절의 움직임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 스트레칭과 교정 운동을 시행합니다. 전기 자극요법이나 초음파 요법과 같은 물리치료도 함께 사용될 수 있습니다.

3.최종 단계 치료: 마지막으로, 어깨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 운동 치료를 수행합니다. 어깨를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움직임 범위를 향상시키고 근력을 증가시키는 운동이 중요합니다.

 

극상근건염에 대해 정확한 이해와 효과적인 물리치료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어깨 통증이나 기능 저하를 경험하는 경우,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빠른 회복을 기원합니다.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