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선천성 첨내반족(congenital talipes equinovarus)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첨내반족이라는 용어가 생소할 수 있지만 , 중요한 선천성 질환 중 하나로 알아두면 많은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됩니다.
선천성 첨내반족이란?
선천성 첨내반족은 일반적으로 '클럽풋'으로 잘 알려져 있는 질환입니다. 첨족(equinus)+내반(inversion), 족관절 저 굴+거골하·중족골 관절 내전, 내반 된 상태로 이 질환은 발이 정상적인 위치와 방향이 아니라 안쪽, 아래쪽으로 비정상적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선천성 첨내반족의 원인
선천성 첨내반족의 정확한 원인은 불명확한 상태이나 , 원인가능성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유전적 요인과 태내 환경의 영향
·특정한 신경의 마비로 인한 근력불균형
·거골 경부의 내측 변위
·하퇴후경골근과 비복근의 근력불균형
선천성 첨내반족의 증상
선천성 첨내반족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발이 안쪽으로 비정상적으로 회전되어 있음
·발목 관절이 아래쪽으로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음
·발끝이 솟아올라 있는 모습(첨두족 현상)
·발바닥이 아래로 향하여 고르게 지지되지 않음
·발의 크기가 정상보다 작게 나타날 수 있음
·피부는 비대, 섬유염과 가성 점액낭 발달
·발뒤꿈치는 자라지 않고 , 피부가 매우 얇음
·치료하지 않으면 발의 앞부분이 넓어짐
·보행이 서툴고 양측성인경우 오리걸음을 보임
·뇌성마비나 이분척추등의 기형을 동반하기도 함
선천성 첨내반족의 물리치료
선천성 첨내반족 치료는 대체로 진단과 동시에 이루어집니다. 처음에는 아래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법이 시도됩니다.
1) 생후 2~3개월
·수술은 보통 시행하지 않고 , 도수교정을 통해 내전, 내반, 족관절 저 굴 되어있는 발을 전족외반시키고 아킬레스건을 신장시킨다.
·도수교정으로 발이 정상 위치에 있게 되면 고정·지지를 적용한다.
2) 2년 이상
도수교정이나 부목, 석고붕대, 스플린트등의 고정·지지치료법들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가 되지 않거나, 재발할 경우 수술적 치료법도 고려됩니다.
선천성 첨내반족의 경우 초기 치료가 중요하며, 올바른 치료를 통해 발의 성장과 발달, 발의 지지력 및 보행 기능을 크게 향상할 수 있습니다.
'질환별 물리치료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턱관절 (측두하악관절) 통증 무심코 넘기지 마세요. (0) | 2023.05.20 |
---|---|
발바닥통증 ? 편평족 , 평발 에 대해 알아봐요. (0) | 2023.05.20 |
X자형 다리 , 무릎이 서로 부딪히는 외반슬 (Genu valgum) (0) | 2023.05.19 |
발가락 통증 , 모르톤 신경종 ( Morton's neuroma) 질환의 이해 (0) | 2023.05.18 |
다리 통증 ? 구획증후군 일수 있어요. (0) | 2023.05.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