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릎 내측 측부인대 의 해부학적 역할 및 손상 , 물리치료
질환별 물리치료 노트

무릎 내측 측부인대 의 해부학적 역할 및 손상 , 물리치료

by 코칭김선생 2023. 5. 31.
반응형

안녕하세요,무릎 내측측부인대 (MCL)의 해부학적 역할 및 속성,내측측부인대 손상의 3단계 분류 및 증상,각 손상 단계에 따른 물리치료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무릎 내측측부인대 (MCL)의 해부학적 역할 및 속성

무릎 내측측부인대(Medial Collateral Ligament, MCL)는 무릎 관절의 안쪽에 위치한 주요 안정 기능을 수행하는 인대입니다. 이 인대는 무릎의 정렬을 유지하며, 외측변위와 급격한 회전 운동으로부터 관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내측측부인대는 외반력이 외측면에 가해졌을 때 무릎 안정성을 제공하고, 균형 있는 슬개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2. 내측측부인대 손상의 3단계 분류 및 증상

내측측부인대 손상은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3단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단계: 경미한 인대 무릎 내측측부 섬유의 손상으로, 충격을 받았을 때 무릎 내측부의 통증이 나타납니다.
-2단계: 중간 정도의 인대 무릎 내측측부 섬유 또는 완전한 파열이 없는 경우로, 무릎의 불안정성이 주요 증상입니다.
-3단계: 완전한 MCL 파열로 인해 무릎 관절의 명백한 불안정이 나타납니다.

3. 각 손상 단계에 따른 물리치료 방법

내측측부인대 손상의 물리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단계: 염증과 부종치료로 냉동 요법, 압박 및 보조기 치료와 같은 보존적 치료를 적용하며, 충분한 휴식을 취하여근력강화운동과 유연성운동을 점진적으로 적용합니다.
-2단계: 보조기 20-30도 신전을 제한하고 얼음팩과 압박요법을 지속적으로 적용치료, 초음파 치료, 전기요법 등의 보존적 치료와 함께 2주 후부터는 제한된 각도 20-75도 내에서 관절운동을 시행하고 통증이 없는 범위 내에서 시행하며 , 3-4주 내는 관절운동범위가 완전히 회복을 목표로 합니다.
-3단계:심부섬유와 표재섬유가 모두 파열된 상태이다. 보존적 치로로도 좋은 결과를 볼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장기적인추적결과 골관절위험이 증가비율이 높게 보고되고 있다. 젊고 활동적인 경우는 수술하는 것이 좋고 환자의 연령과 활동요구정도에 따라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는 게 좋으며, 수술 후에는 재활 치료, 근력 강화, 자세 교정 등의 물리치료 및 일상생활복귀 고려하여 기능 회복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내측측부인대 손상 결과와 환자의 통증 정도와 각 환자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물리치료 방법을 적용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무릎 관절의 안정성을 개선하고 관절움직임의 활동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