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은 신경계 질환 중 하나로 치매다음으로 흔한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입니다 중년 이후에 발병하는 진행성 병입니다. 이 글에서는 파킨슨병의 정의, 원인, 증상, 그리고 물리치료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파킨슨병
파킨슨병은 중추신경계 질환으로 중뇌의 흑질 영역에 있는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손상됨에 따라 발생합니다. 도파민은 운동 조절에 관여하는 중요한 물질로, 그 생산이 감소하면 환자는 떨림, 근육 경직, 운동 속도 저하 등의 증상을 경험하게 됩니다. 파킨슨병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어떤 경우에는 유전 및 환경적 요인이 함께 발병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특정 유전자 변이, 환경적으로 독성에 노출되거나 중금속 중독 등의 위험 요소들이 연구를 통해 해당 질환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증상
파킨슨병 환자는 다양한 증상을 겪습니다. 주요 증상은 떨림, 속도 저하, 근육 경직, 운동기능 저하 및 자세 불안정 등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병의 초기 단계부터 중심 운동 기능에 영향을 줍니다. 파킨슨병은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운동장애가 점점진행하여 걸음을 걷기가 어렵게 되고 점차 완전히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없게 됩니다. 파킨슨병은 한쪽에서 먼저 나타나게 되고 보행 시 한쪽 팔을 덜 흔드는 것으로 보이게 되는데 나중에는 양측성으로 진행됩니다. 가장 큰 특징으로 안정 시 떨림(resting tremor)은 힘을 빼고 있는 팔에서 규칙적인 떨림으로 나타나며 초기에는 손떨림을 인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동작을 수행하려고 움직일 때는 즉시 떨림이 없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보행 시 점점 자세가 구부정해지고 걸음의 보폭이 좁아져 종종걸음이 생깁니다. 병이 더진행되게 되면 균형장애가 발생해 자주 넘어지게 됩니다.
병의 진행은 아주 서서히 시작되어 조금씩 진행되기 때문에 언제부터 병이 시작됐는지 정확하게 알기 어렵습니다.
파킨슨병은 움직임 관련 외 비운동정증상인 자율신경계장애(기립성저혈압, 소변장애, 성기능장애), 위장관장애(침 흘림, 삼킴 장애, 변비), 인지장애(경도인지장애, 치매), 우울, 불안, 충동 조절장애, 정신과적 증상, 수면장애, 통증, 피로, 후각장애등 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물리치료
물리치료는 파킨슨병 환자의 증상 완화 및 생활 질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다양한 치료 법과 운동 프로그램들이 있으며, 주요 치료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스트레칭 및 이완 운동: 근육 경직과 불편함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균형 훈련: 정상적인 움직임과 균형 능력을 향상하고, 낙상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운동 프로그램: 개인화된 운동 프로그램은 신체적 능력과 전반적인 건강을 유지하거나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수중 물리치료: 수중에서의 치료는 환자의 근육을 더욱 이완시키고, 떨림과 경직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파킨슨병은 진행성 질환이지만, 적절한 치료와 물리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생활 수준을 높일 수 있습니다.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전문적인 도움을 받으며, 체계적인 물리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계속해서 파킨슨병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습득하게 되면 더 나은 치료와 증상 관리를 위한 도움이 되겠습니다.
'질환별 물리치료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지정맥류 , 증상 및 엔테론정150mg 효능 (1) | 2023.06.01 |
---|---|
무릎 내측 측부인대 의 해부학적 역할 및 손상 , 물리치료 (0) | 2023.05.31 |
교감신경계 와 부교감신경계 이해 (0) | 2023.05.30 |
척수신경 (Spinal nerves) ,기능 및 임상적 의의 이해 (1) | 2023.05.29 |
선천선기형 이분 척추증 (Spina Bifida) 원인 및 증상, 물리치료 (0) | 2023.05.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