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갑상완관절 전방불안증은 견갑상완관절, 즉 어깨 관절에서 어깨뼈가 견갑골(어깨 판)의 전방으로 벗어날 거 같은 느낌을 받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로 인해 어깨에 통증이 발생하고 움직임이 제한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견갑상완관절 불안증은 임상적으로 견관절 질환으로 방향성에 따라 전방 불안증 ,후방불안증 ,하방불안증 ,다향성 불안증이 있습니다. 그중 전방 불안증이 가장 흔한데 그 이유는 견갑 와가 상대적으로 작고 흠이 얕으며 관절면이 외방 및 전방으로 향하여 있으며 외회전근이 내회전근 보다 강한 작용을 하기 때문에 상완골두가 전방, 내방, 하방으로 탈구됩니다. 급성 외상성 전방탈구는 젊은 성인에서 많이 나타나며 특히 스포츠 손상에 의해 유발됩니다.
원인
견갑상완관절 전방불안증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외상성 원인: 어깨가 급격한 충격을 받거나 잘못된 자세로 견갑상완관절에 과도한 부담이 가는 경우 (어깨 탈구, 자주 발생하는 아탈구 와 견갑골 사이의 인대 훼손 등)
2. 비외상성 원인: 골격 구조 상의 문제, 연령, 반복적인 스포츠 활동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항상 명확한 이유를 찾기 어렵습니다.
증상
견갑상완관절 전방불안증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어깨의 지속적인 통증
2. 어깨 움직임이 불안한 느낌이나 어떤 동작을 할 때 어깨가 빠질 거 같다는 감각(불안감)
3. 물건을 물거나 팔을 움직일 때 또는 머리 위로 팔을 올릴 때 통증이 가중됩니다.
4. 반복적인 습관적 탈구 또는 아탈구
치료
견갑상완관절 전방불안증의 치료에는 보존적 치료법과 외과적 치료법이 있습니다.
1. 보존적 치료
-통증 완화 및 염증 억제를 위한 약물 요법: 진통제, 소염제, 스테로이드 등
-보호대 도움: 견갑골을 안정화시키는 근육 강화를 목표로 한 물리치료 및 보조 기기 사용
-건강한 생활습관: 과도한 운동과 부상 위험을 피하고 긴장을 풀어주는 스트레칭
2. 외과적 치료
특히 외상성 전방 불안감의 경우 보존적 치료가 효과적이지 않을 때, 외과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외과적 치료법이 있지만 주요 목표는 견갑상완관절을 안정화하고 견갑골과 견골 정점 사이의 인대를 복원하는 것입니다.
항상 의사와 상의하여 가장 적합한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존적 치료법으로도 호전이 되지 않을 경우 외과적 치료도 고려하여야 합니다.
'질환별 물리치료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골구 이형성증(acetabular dysplasia) (0) | 2023.08.19 |
---|---|
소뇌 성 실조증 증상 및 치료 (0) | 2023.08.14 |
뇌졸중의 원인과 예후 그리고 물리치료 (0) | 2023.08.10 |
사지마비란? (0) | 2023.08.08 |
변형성 골염(paget's disease) (0) | 2023.08.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