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강직성 척추염이라는 질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강직성 척추염은 낯설면서도 주변에서 대개 볼 수 있는 질환입니다. 아픔을 경험하고 있는 분들을 위해, 그리고 이 질환에 대해 관심이 있는 분들을 위해 정의, 원인, 증상, 그리고 물리치료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강직성척추염(ankylosing spondylitis)
강직성 척추염은(ankylosing spondylitis)은 척추염의 한 유형인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척추관절의 연골과 주위연골의 질환입니다. 주로 척추와 관절에 동통 및 염증이 일어나며, 척추 가동성이 저하되어 강직성과 심한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강직성척추염의 원인
강직성 척추염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일 가능성이 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HLA-B27이라는 유전자와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또한, 환경적 요인과 감염성 요인도 원인으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발생빈도는 20대 젊은 남자에게 호발 되며 , 임상에서 환자들의 인체 침범은 천장관절> 허리> 흉부> 늑골순으로 발생됩니다.
강직성척추염의 증상
강직성 척추염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증상이 차츰 나타납니다. 증상 중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휴식 후나 아침에 목과 허리의 강직감 또한 밤에 불안한 수면, 허리 통증과 엉덩이 통증, 관절 통증, 눈의 염증(홍채염)도 자주 나타납니다.점차 피로감이 심해지고, 체중감소등 신체전반의 무기력증이 생깁니다. 통증이 상행성으로 상부 척추까지 침범하게 되고, 척추 전반의 골성화가 진행됩니다.
강직성척추염의 물리치료
강직성 척수염은 비록 완치는 불가능하나 ,물리치료로 강직성 척추염의 증상을 완화하고 일상생활을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통증감소, 염증관리, 강직예방을 목적으로 질환을 지연시키고 , 자세교육등 통해 관절의 변형을 최소화시킵니다.
온열치료, 수치료를 적용하여 통증을 감소시키고, 근위축, 관절가동범위의 회복을 돕습니다. 또한 운동 치료는 꾸준한 스트레칭과 척추안정화 및 유연성에 반드시 필요하며, 정기적인 운동으로 척추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열 치료와 전기 치료, 광선 치료 등을 활용해 직접 통증 부위에 작용하여 염증을 줄이고, 근육의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FES는 제한된 움직임을 개선하고 근육의 기능을 촉진하기 위해적용됩니다.
이상으로 강직성 척추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알게 된 지식을 바탕으로 올바른 치료와 적절한 생활습관을 유지해서 이 질환을 극복해 나가기를 바랍니다. 건강한 일상을 보내시길 기원합니다!
'질환별 물리치료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행성 척추염 (degenerative spondylitis) 이란? (0) | 2023.06.16 |
---|---|
경추 추간판탈출증 , 원인 및 증상 , 물리치료 (0) | 2023.06.15 |
슬개골 골절이란? 증상 및 물리치료 (0) | 2023.06.13 |
삼차신경 , 삼차신경통 원인 및 증상 , 물리치료 (0) | 2023.06.12 |
인체 중력의 중심(Center of gravity) 과 중력선(Line of gravity) : 물리치료학에서 중요한 개념 (0) | 2023.06.09 |
댓글